완주 문화브랜드화 세미나서 "최초 비가비 광대 권삼득의 생애와 '덜렁제'의 예술성 재조명"
‘최초 비가비 광대, 권삼득 다시보다’ 주민과 문화예술인의 뜨거운 관심속 국창 권삼득, 문화브랜드화 추진 첫걸음
이명선 기자 | 입력 : 2024/08/30 [11:15]
▲ 국창 권삼득, 문화브랜드화 추진을 위한 첫걸음
|
[경인시민일보=이명선 기자] 지난 8월 29일 목요일 오후 2시 우석대학교 W-SKY 23에서 완주 문화브랜드화 세미나 ‘최초 비가비 광대, 권삼득 다시보다’가 주민, 문화예술인의 뜨거운 관심 속에 열렸다. 완주군과 사단법인 완주예총, 완주문화재단이 협력하여 진행한 이번 세미나는 조선 최초 양반 광대이자 8대 명창으로 꼽히는 국창 권삼득의 생애와 덜렁제의 예술성을 재조명하고, 대중화 및 문화브랜드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최초 비가비 광대, 권삼득 다시보다’는 좌장을 맡은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유영대 원장의 기조발표로 문을 열었다. 유영대 원장은 우리나라 판소리사에서 최초의 비가비(학식 있는 상민으로서 판소리를 배우는 사람) 광대인 권삼득의 삶을 통해 조선 후기, 견고한 시대적 인식과 편견 앞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펼쳐나간 예인 권삼득을 소개했다. 이후 첫 번째 주제 발표를 진행한 유민희 한국음악작곡가는 ‘비가비 명창 권삼득의 생애와 덜렁제의 예술성’을 주제로 양반이 광대가 될 수 없던 시대, 금기를 넘어 최초로 광대가 되었던 양반 권삼득의 이야기를 펼쳐나갔다. 그리고 '홍보가', '심청가', '수궁가', '춘향가' 등 다양한 판소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권삼득의 덜렁제를 깊이 있게 분석함으로써 덜렁제의 예술성과 확장성을 조명했다. 이어 주재근 정효문화재단 대표는 ‘권삼득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발굴’을 주제로 두 번째 발표를 진행했다. 주재근 대표는 권삼득이 완주의 문화브랜드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200년 전 예술인의 삶과 철학, 예술 세계가 현 시대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동시대성의 맥락에서 권삼득 콘텐츠를 분석해 볼 것을 제안했다. 그 외에도 오스트리아 빈, 정선군의 정선아리랑, 충남 중고제 등 국내‧외의 문화유산 브랜드화 사례를 분석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권삼득 콘텐츠가 개발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과 문화예술기관, 문화예술인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점도 함께 짚었다. 주제 발표에 이어 토론자로 나선 이태화 고려대학교 초빙교수는 고창군의 신재효 문화브랜드화 사례를 예로 들며 권삼득을 문화브랜드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권삼득과 연관된 문화유산의 발굴과 보존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밝혔다. 또한 매년 열리는 ‘국창 권삼득 추모 전국국악대제전’의 경우 그 규모나 경연 내용을 살펴봤을 때 권삼득의 예술적 성과를 기리기 위한 대회로 보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있다며, 덜렁제와 연계해 판소리 경연을 강화하고 국창 권삼득을 알릴 수 있는 대중적인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대회를 차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서정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는 덜렁제의 예술적 가치를 강조하며 권삼득의 판소리사적 의미, 그의 철학과 음악적 가치관 등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며, 권삼득 스토리가 이해와 공감으로 이어질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설렁제, 드렁조, 권삼득제' 등 다양하게 불리는 덜렁제의 명칭을 통일하고, 권삼득을 이미지화하는 문화콘텐츠 개발 등 대중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예술인은 "자유토론 시간을 통해 기존에 이루어진 권삼득에 대한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다양하다’는 것에 놀랐다"며 "국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권삼득의 삶과 예술 세계를 알릴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면 좋겠다"고 생각을 전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번 자리를 통해 국창 권삼득의 문화적 가치가 새롭게 조명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문화브랜드화 추진을 통해‘전통예술의 멋과 흥이 살아 숨 쉬는 완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인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